문제 출처 https://programmers.co.kr/learn/courses/30/lessons/42862
코딩테스트 연습 - 체육복
점심시간에 도둑이 들어, 일부 학생이 체육복을 도난당했습니다. 다행히 여벌 체육복이 있는 학생이 이들에게 체육복을 빌려주려 합니다. 학생들의 번호는 체격 순으로 매겨져 있어, 바로 앞번�
programmers.co.kr
문제 설명
점심시간에 도둑이 들어, 일부 학생이 체육복을 도난당했습니다. 다행히 여벌 체육복이 있는 학생이 이들에게 체육복을 빌려주려 합니다. 학생들의 번호는 체격 순으로 매겨져 있어, 바로 앞번호의 학생이나 바로 뒷번호의 학생에게만 체육복을 빌려줄 수 있습니다. 예를 들어, 4번 학생은 3번 학생이나 5번 학생에게만 체육복을 빌려줄 수 있습니다. 체육복이 없으면 수업을 들을 수 없기 때문에 체육복을 적절히 빌려 최대한 많은 학생이 체육수업을 들어야 합니다.
전체 학생의 수 n, 체육복을 도난당한 학생들의 번호가 담긴 배열 lost, 여벌의 체육복을 가져온 학생들의 번호가 담긴 배열 reserve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, 체육수업을 들을 수 있는 학생의 최댓값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해주세요.
제한사항
- 전체 학생의 수는 2명 이상 30명 이하입니다.
- 체육복을 도난당한 학생의 수는 1명 이상 n명 이하이고 중복되는 번호는 없습니다.
- 여벌의 체육복을 가져온 학생의 수는 1명 이상 n명 이하이고 중복되는 번호는 없습니다.
- 여벌 체육복이 있는 학생만 다른 학생에게 체육복을 빌려줄 수 있습니다.
- 여벌 체육복을 가져온 학생이 체육복을 도난당했을 수 있습니다. 이때 이 학생은 체육복을 하나만 도난당했다고 가정하며, 남은 체육복이 하나이기에 다른 학생에게는 체육복을 빌려줄 수 없습니다.
입출력 예시
n | lost | reserve | return |
5 | [2, 4] | [1, 3, 5] | 5 |
5 | [2, 4] | [3] | 4 |
3 | [3] | [1] | 2 |
● 어떻게 풀까?
1. 여벌 있는 학생이 도난 당하면 못 빌려줌
==> 여벌 있는 학생 중에 도난 당한 학생이 누군지 알아야 함
2. 누구한테 빌리나?
==> 여벌학생 기준 왼쪽학생부터 도난당했는지 확인 후 빌려줌
==> " 왼쪽학생이 옷이 있다면 오른쪽 학생이 도난 당했는지 확인 후 빌려줌
3. return 값은 [전체 학생수 n]에서 [도난 당한 학생 수]를 제외하면 됩니다.
● 나의 풀이
def solution(n, lost, reserve):
reserve_B = set(reserve) - set(lost) # 여벌학생 중에 도난학생 제거
lost_B = set(lost) - set(reserve) # 도난학생 중에 여벌학생 제거
for i in reserve_B: # 여벌학생 기준으로
if i-1 in lost_B: # 여벌학생 왼쪽애가 도난 당했으면
lost_B.remove(i-1) # 왼쪽애한테 옷 빌려주기
elif i+1 in lost_B: # 왼쪽애 옷 있으면 오른쪽애가 도난 당했는지 살피기
lost_B.remove(i+1) # 오른쪽애한테 옷 빌려주기
return n - len(lost_B) # 체육복 다 있는 애들 세기
● 다른 사람 풀이
https://github.com/Hong-Jun-Ho/Python/blob/master/venv/Programmers/level1/Gym.py
Hong-Jun-Ho/Python
Python. Contribute to Hong-Jun-Ho/Python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.
github.com
def solution(n, lost, reserve):
C_list = [1] * n
for i in reserve:
C_list[i - 1] = 2
for i in lost:
C_list[i - 1] = C_list[i - 1] - 1
for index, value in enumerate(C_list):
if index > 0 and value == 0 and C_list[index - 1] == 2:
C_list[index] = 1
C_list[index - 1] = 1
elif index < n - 1 and value == 0 and C_list[index + 1] == 2:
C_list[index] = 1
C_list[index + 1] = 1
return n - C_list.count(0)
remove를 안 쓴 코딩이라는 점에서 인상 깊습니다.
enumerate라는 함수도 처음 접해보네요.
파이썬에서 remove를 쓰면 메모리(공간/시간)를 많이 잡아먹는다고 해서 코드가 길 경우 사용하지 않는 것을 권장한다는데.. 이 부분은 좀더 공부를 한 후에 포스팅을 이어나가려고 합니다.